10년에 걸쳐 지은 대추밭백한의원

출처: 중앙일보

경북 경주에는 새벽마다 텐트 대기 줄로 북새통인 한의원이 있다. 전국에서 온 사람들의 ‘노숙런’을 위해 인근에 텐트 장비를 빌려주는 업체까지 생겼다. 경주에서 5대째 운영 중인 대추밭백한의원 앞 풍경이다. 난임치료 전문 한의원으로 ‘경주 삼신할배’라고 불린다. 장항준 영화감독과 김은희 작가 부부 등 유명 인사들이 이곳 약을 먹고 임신했다는 입소문에 더 유명해졌다.

대추밭백한의원의 대들보 없는 한옥 
최근 대추밭백한의원이 50여년 만에 병원을 새로 짓고 경주 시내에서 외곽 사정동으로 이전했다. 약 4976㎡ 규모의 부지에 새로 지은 집은 세 동짜리 한옥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한옥이 아니다. 구조가 모두 다른데, 전통 목구조 방식을 그대로 따르지 않았다. 세 채 모두 한옥의 주요 부재인 대들보가 없다. ‘치유의 집’이라는 컨셉트로 진료실ㆍ미술관ㆍ복합문화공간을 쓸 예정이다.

이 실험적인 한옥을 짓기 위해 투자한 시간만 10년. 땅값 제외한 공사비로만 70억원을 썼다. 최근 만난 5대 원장인 백진호(53) 원장은 “이런 집을 짓고 있다 하니 사람들이 서울 강남 아파트 사고 나머지 돈으로 경주 시내에 작은 빌딩을 사서 병원으로 쓰면 되는데 돈 안 되는 일을 한다고 타박하더라”며 웃었다. 그러면서 “한의원을 5대째 하면서 많이 받은 만큼 좋은 건축물을 지어서 경주의 품격도 올리고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자는 사명감으로 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693

저도 엄마가 될 수 있을까요?

“아기를 원하는 부부에게 대추밭백한의원이 전하는 임신 동의보감”

백진호 지음 / 이덴슬리벨 /

책소개

130년 전통의 경주 대추밭 백한의원
건강한 임신을 위한 난임 해결 비법!“남들에겐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 우리에겐 왜 이렇게 어려울까?”

아이를 원하는 부부에게 난임은 꺼내기조차 싫은 단어다. ‘우리가 진짜 난임일까?’, ‘정말 아이를 가질 수 없으면 어떻게 하지?’ 병원에서 난임 판정을 받은 날부터 수많은 고민이 꼬리에 꼬리를 물기 시작한다. 처음엔 ‘검사가 잘못된 거 아닐까?’ 부정하는 마음부터 들다가 병원을 몇 차례 오가도 좋은 소식이 없으면 어느 순간 덜컥 가슴이 내려앉는다. 어떤 날은 신이 나를 버린 것 같고, 영원히 이 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 같은 불안감이 엄습하기도 한다. 그때부터 주위에 아이들만 봐도 눈물이 나고, 아이를 안고 있는 엄마를 보면 질투가 일기도 한다. 결혼생활에서 난임으로 이렇게 큰 고통을 겪을 거라고는 그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을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난임률은 7쌍 중 1쌍 정도로 매우 높은 편이다. 늦은 결혼이 가장 큰 요인이지만, 요즘은 원인을 알 수 없는 난임과 스트레스로 인한 난임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경주의 대추밭 백한의원은 130년간 난임인 부부를 치료해 온 한의원이다.《저도 엄마가 될 수 있을까요?》의 저자이자 5대째 이곳을 운영하고 있는 백진호 원장은 “병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법은 약이 아니라 우리 몸부터 건강하게 바꿔야 한다”라고 말한다. 즉, 허약한 몸의 상태를 개선해 임신할 수 있는 몸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대추밭 백한의원에서 130년 동안 난임 부부를 치료해 온 임신 비법을 한 권의 책에 담았다. 단순히 난임의 원인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몸 전체의 밸런스를 맞춰 가장 자연스럽고 근본적인 치료를 통해 결국은 임신을 가능하게 만든다는 것이 백 원장의 생각이다.
늦은 결혼으로 노산이 걱정되는 사람, 부부가 함께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준비하고 싶은 사람, 자기 몸에 맞는 치료법을 찾아 건강하게 임신하고 싶은 사람이라면《저도 엄마가 될 수 있을까요?》가 기적같은 임신의 여정에 친절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Read more

불임이란

불임이란 부부가 정상적인 부부관계를 유지하는 데도 불구하고 1년이내에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정상적인 부부는 결혼한지 1년 이내에 85% 정도가 임신을 하게 되고. 15% 정도는 임신을 하지 못하는 것이 통계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임신 가능성은 결혼 1개월 내에 25%, 6개월 내에 70%, 1년 내에 85%정도 됩니다. 남녀의 임신능력은 남녀 모두 24세에 최고가 되며 이후 매 5년마다 임신에는 2배의 기간이 더 필요하며 35세 이후의 임신능력은 급격히 저하됩니다. 불임 대책은 빠를수록 유리하므로 1년이 지나도 임신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문의와 상담을 통하여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남성 불임증

남성 불임증은 전체 불임증 중에서 차지 하는 비율이 적지 않습니다. 

* 남성 불임증은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성교 장애
②정자생산 이상
③정자 통로의 이상
④정액중 정자의 이상

한방에서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가지로 원인을 나눌수 있다.

① 기쇠 (氣衰)한 경우
선천적으로 체질이 약하거나, 후천적으로 정력이 심하게 떨어지는 남성들은 아무리 여성이 정상이라 하더라도 임신이 불가능해진다. 이런 경우를 가리켜 기쇠 불임이라고 말하는데, 양허(陽虛)로 보아 부족한 양기를 보충하여 고정시켜 주기 위해 보양(補陽), 보기(補氣)한 처방을 사용한다.

여성 불임증

여성 불임증은 남성에 비해 원인이 다양하고 치료도 복잡합니다. 남성의 역할은 정자를 생산하여 질내에 사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여성은 정자를 받아 들이고, 난자와 수정시켜서 키워야 하는 등 임신에 관여하는 요소가 많고 이에 관여하는 역할이 큽니다.
여성 불임증의 원인을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성교 장애-질협착증, 외음부의 신경성 경련증, 처녀막 폐쇄증, 질폐쇄, 질결손, 자궁암 등

생리통

생리통은 골반에 기질적인 병이 없는 원발성인 경우와, 기질적인 병이 있는 속발성의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생리통은 이 원발성인 경우인데, 이 통증은 보통 월경이 시작되기 몇 시간 전에 발생합니다. 통증은 주로 경련성이나 진통과 같은 성격인데, 하복부와 치골에 통증이 오며 경우에 따라서는 아랫배와 다리까지 아프기도 합니다. 주로 월경량이 많아지면 통증이 없어지기도 하지만, 통증이 심할 때에는 요통, 오심, 쿠토, 피곤, 어지럼증, 설사, 식욕 부진, 두통, 신경과민 등을 동반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대체적으로 나이가 들거나 출산을 경험하게 되면 저절로 호전되는 것이 보통입니다.

월경불순과 생리불순

(1)월경이란?
임신되지 않은 자궁에서 혈액과 점막조직이 질을 통하여 주기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말합니다. 정상적인 월경주기는 대개 24-32일이며 월경기간은 보통 3-7일간이고, 보통 정상적인 월경기간동안의 출혈량은 대략 33ml 이며 월경량의 약 80%는 생리 첫 2일간 나옵니다.

(2)생리불순
정상적인 생리, 곧 월경이란 성숙한 여성의 경우 새 생명을 잉태하기 위한 준비과정 중 수

정란이 착상하지 않았을 때, 자궁으로부터 점막의 괴사를 수반하는 자발적인 자궁출혈이 주기적이고, 규칙적으로 반복하여 일어나는 것입니다.

月經이라는 명칭에서 보듯이 그 어원이 달을 상징하고있는 것은 생리 배출의 주기적 현상이 28일-30일로 달의 차고 기움과 서로 상응하기 때문.이에 반하여  주기가 일정하지 않거나, 출혈량 및 지속기간이 비정상이거나, 월경 혈의 색에 이상이 있을 때를 통칭하여 ‘생리불순’이라고 합니다. 정상 월경의 경우, 주기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28~32
일형이 대부분이면서 주기 전후로 2,3일씩 변화가 있기도. 월경량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병적인 경우

1. 경조증(經早症); 예정일보다 4,5일 이상 일찍 생리가 생깁니다.

2. 경지증(經遲症); 월경이 5일 이상 지연되어 생리가 생깁니다.

3. 과다월경;월경량이 과다하게 배출되는경우,출혈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8일 이상)

4. 과소월경; 월경의 지속일수가 2일 이내, 경혈량이 지나치게 줄은 것.

5. 월경색이 자흑, 담백, 쌀뜬물같거나, 덩어리가 있을 때.

한방에서는 경조증과 과다 월경, 월경색이 자흑색이면 열증, 경지증과 과소 월경, 월경색이 담홍백색이면 허한증, 월경혈이 덩어리가 있으면서 자흑색이면 어혈이 원인. 칠정(七情), 외감(外感), 음식 부절에 의한 내상(內傷)에 의하여 충맥과 임맥 및 간장,비장, 신장의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발생한다.

생리불순은 칠정(七情), 외감(外感), 음식부절에 의한 내상(內傷)에 의하여 간장, 비장, 신장의 기능과 임맥 및 자궁의 기혈이 실조되어 발생합니다. 주로 경조증과 과다 월경, 월경색이 심홍자흑색(深紅紫黑色)이면 열증(熱症), 경지증과 과소 월경, 월경색이 담홍백색(淡紅白色)이면 허한(虛汗證), 월경혈이 혈괴(血塊)가 있으면서 자흑색이면 어혈이 원인입니다.

치료법은 칠정에 의한 경우는 해울(解鬱), 소기(疎氣) 시키며 경조증은 청열(淸熱), 보음(補陰) 경지증은 온보, 어혈의 경우는 축어(逐瘀) 치료법 등을 사용합니다. 생리불순일 때 산성 식품을 비롯한 자극성 음식과 술, 커피, 담배 등을 삼가 합니다.

임신초기의 임산부

임신 초기부터 여러 주의사항을 지키고 조심해서 생활해야 건강을 유지하고 튼튼한 아기를 낳을 수 있기 때문에 임신이 되었다는 생각이 들 때는 가능한한 빨리 산부인과 전문의 선생님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 자기 스스로 알 수 있는 증세

①월경이 없어집니다.
②유방과 복부가 커집니다.
③임신 초기에는 식욕이 없어지고 구토증이 일어납니다.(입덧)
④변비가 생기기 쉽습니다.
⑤소변이 자주 보아집니다.
⑥냉이 많아집니다.
⑦감정의 변화가 심해집니다.

☞임신중 위험한 증상

①자궁 출혈이 있을 때
②얼굴과 팔,다리가 부을 때
③두통이 심하거나 계속될 때
④눈이 침침하고 잘 보이지 않을 때
⑤배가 아플 때
⑥지속적인 심한 구토증이 있을 때
⑦열이 나며 한기가 들 때